-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결제시스템 현황(Feat. 디지털 위안화)금융/해외은행, 금융서비스 2022. 2. 12. 06:45반응형
안녕하세요 제주살암입니다.
베이징 동계올림픽 다들 즐기고 계시는지요? 아마 못즐기고 계실 것 같습니다. 저도 못즐기고 있습니다. 역대급으로 이렇게 더러운 올림픽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어쨌튼 제가 이 글은 쓴 이유는 3년전에 중국의 결제 시스템과 관련하여 글을 쓴적이 있는데, 나온 기사들을 토대로 현재의 상황을 적어보려합니다.
2019.01.19 - [금융/해외은행, 금융서비스] - 중국 베이징 2022 동계올림픽에 대하여 걱정되는 점
중국 베이징 2022 동계올림픽에 대하여 걱정되는 점
안녕하세요 제주살암입니다. 제가 이전에는 무엇을 소개하는 글만 쓰다가 의견을 적는 글은 처음인 것 같습니다. 이번에 칼럼형식으로 낼 주제는 바로 베이징 2022 동계올림픽에 관한 글입니다.
jejustudent.tistory.com
기사는 아래의 글을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tokenpost.kr/article-83520
디지털 위안화 성공했나? ‘베이징 올림픽’서 비자(Visa)보다 많이 사용돼 - 토큰포스트
전 세계 중앙은행들이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에 대한 관심을 보이는 가운데, CBDC의 선두주자로 여겨지는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의 사용이 비자카드 사용량보다 많다는 분석이 나왔다.2022년 2
www.tokenpost.kr
우선 정리해보면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알리페이(즈푸바오) 및 위챗페이(웨이신) 허용
- 올림픽 스토어에서 디지털 위안화가 사용되었으며 비자카드보다 사용량이 많다
근데 이상합니다. 올림픽에서는 현지화폐 또는 비자카드만 사용해야하는데, 알리페이와 위챗페이 허용이라뇨? 디지털 위안화는 인민은행에서 법정화폐라서 통용될수 있다고 주장하니 그렇다 쳐도,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는 선불결제수단이라서 원래는 사용이 되면 안됩니다. 비자가 한발 허용해서 비자카드를 QR결제로 하는 거라면 모를까, 그렇게 결제하는 중국인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거의 잔액으로 충전을 한 다음 결제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따라서 올림픽에서 비자의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할 수 있는데, 정작 비자에서는 중국 정부에 항의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중국 정부에 항의했다가 완전이 퇴출될 수 있어서 그냥 있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베이징 동계올림픽 위원회가 아몰랑 도입시킨 것 같은 느낌이 강하게 듭니다. 어차피 비자가 찍소리도 못할걸 아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번 올림픽은 외국인 관광객의 입장이 거의 제한되어있어서 대부분 디지털 위안화 또는 알리페이 혹은 위챗페이로 결제해서 비자카드의 사용량이 매우 적어졌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외국인들이 디지털 위안화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 것도 이유 중 하나일 것 같습니다. 어차피 외국인 관광객 대다수는 단기 방문자이므로 비자카드나 비자카드를 사용해서 위안화를 인출해 사용할 경우가 거의 대부분입니다.
앱스토어에 e-CNY를 치면 이렇게 디지털 위안화 앱이 나옵니다. 그런데 제 메인폰에는 설치하고 싶지 않아서 연구폰에다가 한번 깔아서 리뷰를 해볼까 생각중이긴 합니다.
이 내용만 보면 현지 은행과 연계해서 사용해야 할 것만 같은 느낌이 들긴 합니다.
디지털 위안화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디지털 위안화에 대한 현황이 알고 싶으시다면 아래 홈페이지에 첨부된 PDF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www.kiep.go.kr/gallery.es?mid=a10102040000&bid=0005&list_no=9614&act=view
중국 디지털 위안화 추진 현황과 전망 | KIEP 기초자료 | 현안자료 | 발간물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www.kiep.go.kr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서 디지털 위안화에 관한 내용을 매우 잘 정리해서 적어놨습니다. 이걸 보시면 디지털 위안화가 어떻게 달러 패권에 도전하려 하는지 아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에 현지 스폰서로는 중국은행이 참여하였고 역시 베이징 올림픽 기념으로 비자 신용카드를 내놨습니다.
등급은 플래티늄 이상이고 따로 직불카드 상품으로는 내놓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의 핀테크를 알아봤습니다. 2020 도쿄올림픽이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은 둘 다 올림픽을 계기로 두 도시가 핀테크 혁명을 일으켰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도쿄는 올림픽을 계기로 현금없는 사회 돌입에 성공했습니다. 일본 정부가 비현금 결제에 대한 캐시백을 지원하면서 현금사회 일부탈출에 성공하였습니다. 중국도 디지털 위안화 사용을 통해 핀테크 혁명을 일으켰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평창 동계올림픽은 금융혁명을 일으키지 못한 것이 아쉽습니다.
어쨌건 남은 동계올림픽 동안 중국이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하길 바라며, 이상 제주살암이었습니다.
반응형'금융 > 해외은행, 금융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팔(Paypal) 미국 은행 송금이 손해가 아닌 이유(Feat. TD 아메리트레이드 라우팅 넘버) (1) 2022.04.04 TD 아메리트레이드 계좌 개설 완료하기 (0) 2022.02.21 미국 증권사 TD 아메리트레이드 계좌개설(비거주자, SSN 없이)(사용불가) (4) 2022.02.09 한국의 신용점수로 미국 신용카드를 발급하도록 도와주는 Nova Credit 가입하기 (5) 2021.09.26 우체국에서 애플페이를 시도해봤다. 결과는? (6) 2021.05.19 댓글